2025년 노인일자리는 역대 최대 규모(약 109.8만 개)로 준비돼 있습니다.
하지만, 모집 시기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.
아래 버튼을 누르면 지금 바로 내 지역의 모집 공고와 참여 자격을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!
노인일자리 지원대상
- 공익활동(공공형):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 중심(배우자 직역연금 수급자 포함)
- 노인역량활용(舊 사회서비스형): 원칙적으로 만 65세 이상(일부 유형은 만 60세 이상 가능)
- 시장형(시장형사업단·취업알선형·시니어인턴십·고령자친화기업): 만 60세 이상, 사업 특성에 맞는 참여자
※ 지자체·수행기관별 세부 요건은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사업 유형과 하는 일
- 공익활동: 지역 공익에 기여하는 봉사 성격의 활동
(예: 노노케어, 취약계층 지원, 공공·보육시설 지원 등) - 노인역량활용(舊 사회서비스형): 경력·역량을 살려 돌봄·안전·행정지원 등 사회서비스 제공
- 시장형
- 시장형사업단: 생산·판매, 매장운영, 영농·운송 등 수익창출형
- 취업알선형: 교육 이수·경력 보유자를 수요처에 연계, 임금 지급
- 시니어인턴십: 기업에 인건비 일부 지원(개인 직접지급 아님), 신규·계속 고용 유도
- 고령자친화기업: 고령자 다수 고용 기업을 발굴·지원(기업 지원)
2025 노인일자리 활동시간·수당(예시)
- 공익활동: 월 약 30시간 내외 운영(예: 1일 3시간×10일), 활동비는 지자체·연도별 다름
- 노인역량활용: 통상 월 60시간 내외(기관·유형 따라 다름), 활동비는 공고문 참조
- 시장형: 사업단 수익·기업 고용조건에 따라 임금·시간 상이
※ 실제 시간·수당은 지역·유형·연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 해당 수행기관 공고 확인 필수.
2025노인일자리 신청 방법(온라인·오프라인)
온라인
- 노인일자리여기 접속 → 기관/유형/지역 선택 → 모집공고 확인 → 온라인 접수
- 복지로 로그인 후 안내에 따라 온라인 신청 경로 이용
- 정부24에서 관련 서비스·안내도 확인 가능
오프라인
- 거주지 인근 수행기관(노인복지관, 노인일자리 수행기관, 지자체 담당부서) 방문 접수
- 일반적으로 연말(12월 전후) 집중 모집하나, 지역 여건에 따라 추가 모집이 있을 수 있음
준비서류·선정기준
- 기본: 신분증, 급여 수령 통장사본
- 해당 시: 건강상태 관련 서류, 경력·자격 증빙 등(유형별 상이)
- 선정 기준: 기초연금 수급 여부, 활동 적합성, 참여 경력 등 종합 심사
※ 정확한 서류 목록은 수행기관 공고문 기준으로 준비하세요.
노인일자리 참여 제한·주의사항
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자는 원칙적으로 참여 제한
(단, 일부 유형(예: 취업알선형) 예외 가능)
- 건강보험 직장가입자, 장기요양보험 등급(1~5급·인지지원) 판정자 등은 유형에 따라 제한 가능
- 동일 기간 타 일자리사업 중복참여 제한 가능
- 근무시간·안전수칙·교육 이수 등 기관 규정을 반드시 준수
자주 묻는 질문
Q. 기초연금 수급자가 아니어도 가능한가요?
A. 공익활동은 보통 기초연금수급자 중심입니다. 다만 노인역량활용·시장형은 만 60~65세 이상으로 폭이 넓고, 요건이 유형·기관마다 다르니 공고문을 확인하세요.
Q. 건강이 걱정됩니다. 활동 강도는 어떤가요?
A. 공익활동은 비교적 가벼운 봉사 성격이 많습니다. 역량활용·시장형은 역할별로 상이하니 면접 시 건강상태와 선호를 꼭 말씀하세요.
Q. 온라인 신청이 어렵습니다.
A. 가까운 노인복지관·수행기관에 방문하시면 접수를 도와줍니다. 동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해도 연결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.
TIP: 우리 동네 모집 공고는 수행기관(노인복지관, 지자체) 홈페이지·현장 게시판, 노인일자리여기에서 수시로 확인하세요.
서류·시간·수당은 기관별로 다를 수 있으니, 반드시 공고문을 확인한 뒤 신청하면 안전합니다.